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자동차의 시동이 안걸릴때 점검 방법 (ft. 영종코코)

by 블로티 2023. 1. 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송딱따구리입니다
아는 지인의 네이버 블로그의 좋은 내용이 있어 공유합니다.



한 겨울 아침에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참 난감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평상시 시동이 안 걸릴때  관련된 조금의 상식을 알아두면 이럴 경우 미리 대비할 수 있습니다.

 

가솔린 엔진이 시동이 늦거나 안걸릴 경우

가솔린 엔진 자동차의 경우 불꽃 점화 방식의 연소를 합니다. 엔진 연소실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기체에 점화 플러그가 불꽃을 튀겨주어서 연소가 이루어 지는 방식으로 점화 플러그와 배터리 문제로 인해 겨울철에 시동이 안걸리는 이유가 대부분 입니다.

 

디젤 엔진이 시동이 늦거나 안걸릴 경우

디젤 엔진 자동차의 경우 압축 착화 방식의 연소를 합니다.엔진 연소실 내부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와,연소실 내의 온도를 예열 플러그가 고온으로 높여서,연료를 분사하여 연소가 이루어 지는 방식으로 겨울철 시동이 안걸리면,예열 플러그,연료 필터,배터리,연료탱크 내 수분 응축,등이 대부분 입니다.

배터리 점검 사항 입니다

 

겨울철 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는 이유로 가장 많은 원인이 바로 배터리 방전입니다. 
차량의 배터리는 날씨가 추울수록 방전되기 쉽기때문에 조금 만 관리를 소홀히해도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습니다.


보통배터리 수명은 아무리 관리를 잘해도 4~5년 정도면 교체를 해야 합니다.
배터리 방전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배터리 상단에 인디게이터라는 점검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녹색이면 정상, 검은색이면 충전이 부족한 상태, 흰색이면 배터리 교환이 필요한 상태 입니다. 



겨울철 경유에는 파라핀 성분인 윤활제가 포함되어있습니다.파라핀 성분이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게 되면 경유에 혼합되지 못하고 분리되는 현상으로 경유가 뿌옇게 변합니다.고체화되어 연료필터,연료라인에 원활하게 연료가 공급되지 못하게 막히게 되어서 시동꺼짐과 시동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연료필터는 교환 주기가 3만km~4만km 주행하면 꼭 교환을 해야합니다.
추운 영하의 날씨에 연료 첨가제는 시동을 거는데 도움이 됩니다.


디젤 차량의 특성상 압축 착화 방식의 연소를 하기때문에,압축된 공기를 연소실 내에서 고온으로 상승 시켜서 연소가 되어야하는데,예열 플러그가 연소실에 온도를 고온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예열 플러그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시동이 늦거나 안 걸릴 수 있습니다.

겨울철 디젤 차량 시동이 안걸리는 대부분의 원인 이기도 합니다.예열 플러그는 교환 주기는 3년에6만km주행시 점검및 교환이 필요 합니다



마지막으로 겨울철 자동차 시동이 잘 걸리지 않는 이유는 자동차 연료 탱크와 연료 라인 내에 생긴 수분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이 수분은 추운 겨울철 외부의 온도 차로 연료탱크 내부에 이슬이 맺혀서 생기거나 그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발생한 연료 탱크 내 수분은 기름과 섞이지 않고 계속 남아있게 되기 때문에 차량 연료계통에 손상을 입히게 되기도 하고  연료 탱크 부식이나 시동 불량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연료 탱크 수분 제거제​가 좋은 제품이 많이 나와있어서 사용하는것도 방법 중에 하나 입니다.
연료 탱크에 수분이 안생기게 하려면 자동차에 주유를 하실때 겨울철에는 가득 채우시는게 효과가 있습니다.

​자동차에 시동이 안걸릴 때에는 가입하신 보험사에 연락해서 긴급 출동 서비스를 받는게 제일 좋습니다.
겨울철에 특히 아침에 시동이 안걸리는 경우가 많은데 미리 미리 점검하셔서 이런 최악의 경우가 없기를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